본문 바로가기
복지 및 생활정보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금리 이자 원금, 그래서 신청해야되는지 알려줌

by 오늘의미래 2023. 6. 16.

 

청년도약계좌 신청이 시작되었습니다. 정부의 첫 계획보다는 기여금이 많이 줄었지만 지금 경제상황에서 이만한 적금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먼저 어느정도 내용은 다들 아실 테고

그래서 신청해야 하는게 좋은지, 남들은 잘 모르는 세부사항위주로 알아봅시다

 

먼저 청년도약계좌 개인적 의견

금리가 사실상 7%~8%짜리 적금이라 생각하면되는데, 중요한 건 5년을 묶인다는 것입니다. 가입자 대부분이 사회초년생, 청년들이고 막 사회생활을 시작하여 자리 잡고 결혼도하고 이것저것 신경 쓸게 많습니다. 만약 5년을 재테크를 하는데 이 정도 수익이라면 만족스럽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본인의 여유자금에 비례하여 분산투자 하기를 권합니다.

저축 및 투자금액이 월100만원이라면 50만원만 넣고 나머지는 주식이던 다른 투자 상품을 활용하고, 저축액이 예를 들어 여유가 많으면 70만원 다 넣으시고 나머지는 따로 투자하시면 되겠습니다. 일단은 현시점에서 소액이라도 적금식으로 가입하는 게 무조건 이득이긴 합니다.

 

청년희망적금 하고 있는 사람들은 어찌하나요?

청년희망적금 상품이 끝나는 시점에 가입신청을 할 수 있게 마련한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고정금리가 아니라 변동금리로 변하는데 이거 좋은 거 맞아요?

3년 고정 2년 변동인데, 변동금리 아무리 안 좋게 되어도 마지막 2년 떨어진 금리라 해봤자 얼마 차이안납니다.

5천만 원에서 몇십만 원 차이 날수도 있는 걸 걱정하는 건가요? 판단은 본인몫...

 

여기서 한 가지 간과할 수 있는 사실

아래 첨부사진에도 나오겠지만, 직전 연도 기준으로 소득기준 잡는데 비과세가 장점인 이 적금이 소득요건을 넘어버리면 비과세가 사라져 버립니다. 대신 정부 기여금은 그대로 지급되고요.

또한 사유 없는 중도해지 시 비과세, 기여금 모두 사라지니 장점이 없어질 수도 있어요..

현재, 그리고 앞으로 몇 년 안에 본인의 연봉도 잘 계산해 보셔야 할거 같습니다.

 

신혼부부에겐 불리한 정책

각자 미혼이었다면 모르겠는데 결혼 후 부부가 되면 개인소득요건이 가구 소득으로 바뀌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 가입이 안될 수가 있습니다. 주변 대부분 부부들은 조건이 안된다 하더군요....

 

 

 

먼저 가장 중요한 5년을 넣었을 때 받는 돈을 알아봅시다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기본금리와 우대금리는 미미한 차이가 있으니 주거래은행별로 잘 비교해 보세요!

 

 

 

 

고민 안 하고 바로 가입하실 분들은 은행별로 어플신청 정리해 놨습니다~

 

 

 

 

 

 

 

 

 

 

 

 

소득확인 및 가구소득기준

 

간단 질문사항

 

 

더 자세하고 꼼꼼한 자료를 보고 싶으신 분들은 금융위원회, 은행위원회를 안내해 드립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