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 및 생활정보

강남 흰개미 발견 정리 심각한상황 우려 환경부 발표

by 오늘의미래 2023. 5. 19.

 

디시인사이드 갤러리에서 시작된 강남 흰개미 출연사건을 정리해 봅시다

목재를 갉아먹는 곤충이라 추정되어 사태의 심각성이 제기되고 있는데요!

 

 

먼저 디시인사이드 갤러리에서 한 유저가 집에서 발견한 곤충을 물어보는 글을 작성하면서 시작됩니다.

 

 

 

 

 

 

 

이하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원본글출처

 

흔한 일상 질문글인 줄 알았으니 곤충에 해박한 지식이 있는 유저들의 답변들과 우려스러운 점이 제기되어 사태가 심각해지고 결국 뉴스까지 나오게 됩니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조사에 착수하게 됩니다.

환경부(장관 한화진)와 국립생태원(원장 조도순)은 5월 17일 서울 강남구 논현동 주택에서 발견된 외래흰개미류에 대해 5월 18일부터 19일까지 현장조사 및 긴급방제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환경부와 국립생태원이 5월 18일 발견지점 및 인근을 조사한 결과, 외래흰개미류의 사체 2개체가 추가로 발견되었으나, 외부 유입 흔적은 발견되지 않아 실내 목재 문틀(섀시) 틈에서 서식·이동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번 외래흰개미류는 국립생태원에서 현미경으로 정밀조사한 결과 마른나무흰개미과 크립토털미스속으로 확인되었으며, 국립생물자원관과 경상대학교에서 유전자분석을 추가 진행 중이다. 유전자분석을 통한 최종 종 동정은 일주일 정도 소요될 예정이다. * 생물의 분류학상 위치 및 종의 정보를 바르게 확인하는 작업 이번에 확인된 크립토털미스속 외래흰개미류는 인체에 위해를 끼치지는 않으나, 전 세계적으로 목재 건축물 및 자재에 피해를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외래흰개미류의 정확한 국내 유입경로는 파악되지 않았으며 추후 역학조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정환진 환경부 생물다양성과장은 "신고지점에 대한 긴급 방제조치는 완료되었다"라며, "외래흰개미류를 발견하는 경우 국립생태원 외래생물 신고센터(041-950-5407, kias.nie.re.kr)에 즉시 신고해 달라"라고 말했다.

 

 

 

이하 환경부 발표자료

 

흰개미 전문가 박현철 부산대교수의 인터뷰에서는

"사실이라면 국내에서 처음 발견되는 것으로,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라고 말하며

우리 주변 목재로 된 모든 것들을 갉아먹을 수 있다고 경각심을 전해주었습니다.

특히 디시인사이드 갤러리에 처음 온라인 제보사진에서 흰개미의 날개가 보이는 것이 특징인데

이 날개는 짝짓기 비행을 위해 생겨난 것으로 보통 군집을 이룬 뒤 5년~10년 정도 지나야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되어

국내에 이미 퍼졌을 가능성을 제기하였습니다.

 

국내사례로는 아래 사진과 같이 이전에 조선왕릉 숭릉 정자각이 흰개미 피해를 입은 적이 있는데요

 

우리나라에 목재가구, 목조주택들과 목조로 된 문화재들이 많은 만큼 걱정이 우려되는 상황이며

해프닝으로 끝나서 별일이 없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